[백준] 9205번 맥주마시면서걸어가기(완)
2020년 07월 27일, 23:50
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
문제 설명
송도에 사는 상근이와 친구들은 송도에서 열리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가려고 한다. 올해는 맥주를 마시면서 걸어가기로 했다. 출발은 상근이네 집에서 하고, 맥주 한 박스를 들고 출발한다. 맥주 한 박스에는 맥주가 20개 들어있다. 목이 마르면 안되기 때문에 50미터에 한 병씩 마시려고 한다.
상근이의 집에서 페스티벌이 열리는 곳은 매우 먼 거리이다. 따라서, 맥주를 더 구매해야 할 수도 있다. 미리 인터넷으로 조사를 해보니 다행히도 맥주를 파는 편의점이 있다. 편의점에 들렸을 때, 빈 병은 버리고 새 맥주 병을 살 수 있다. 하지만, 박스에 들어있는 맥주는 20병을 넘을 수 없다.
편의점, 상근이네 집,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의 좌표가 주어진다. 상근이와 친구들이 행복하게 페스티벌에 도착할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(t ≤ 50)
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맥주를 파는 편의점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(0 ≤ n ≤ 100).
다음 n+2개 줄에는 상근이네 집, 편의점,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좌표가 주어진다. 각 좌표는 두 정수 x와 y로 이루어져 있다. (두 값 모두 미터, -32768 ≤ x, y ≤ 32767)
송도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생긴 도시이다. 두 좌표 사이의 거리는 x 좌표의 차이 + y 좌표의 차이 이다. (맨해튼 거리)
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상근이와 친구들이 행복하게 페스티벌에 갈 수 있으면 "happy", 중간에 맥주가 바닥나면 "sad"를 출력한다.
문제 풀이(실패)
- 테스트 케이스를 인풋값에서 추출.
-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for문.
- convenience에 destination을 넣어줌.
- queue를 만들고 currentLocation을 시작점으로 설정.
- queue가 0이 될떄까지 while.
- destination의 x,y 값이랑 같으면 happy를 출력.
- convenience의 길이가 i랑 같을때까지 while.
- 거리를 구해서 거리가 1000보다 작거나 같으면 queue에 push.
- 그렇지 않으면 i를 증가시킴.
- happy를 출력하지 못하고 queue의 길이가 0이되면, sad를 출력.
const fs = require("fs");
// const input = fs.readFileSync("/dev/stdin").toString().trim().split("\n");
const input = fs.readFileSync("./stdin").toString().trim().split("\n");
const testCaseCount = Number(input[0].trim());
const getTestCases = (inputs, testCaseCount) => {
const cases = [];
let index = 0;
for (let count = 0; count < testCaseCount; count++) {
const convenienceCount = Number(inputs[index].trim());
let tempIndex = index;
index += convenienceCount + 2 + 1;
const testCase = {
currentLocation: null,
destination: null,
convenience: [],
};
for (let location = tempIndex + 1; location < index; location++) {
if (location === tempIndex + 1)
testCase.currentLocation = inputs[location]
.trim()
.split(" ")
.map(element => Number(element));
else if (location === index - 1)
testCase.destination = inputs[index - 1]
.trim()
.split(" ")
.map(element => Number(element));
else {
testCase.convenience.push(
inputs[location]
.trim()
.split(" ")
.map(element => Number(element))
);
}
}
cases.push(testCase);
}
return cases;
};
const testCases = getTestCases(input.slice(1, input.length), testCaseCount);
const executeBFS = () => {
testCases.forEach(testCase => {
const { currentLocation, destination } = testCase;
let convenience = testCase.convenience;
const [endX, endY] = destination;
convenience.push(destination);
const queue = [currentLocation];
while (queue.length) {
const [startX, startY] = queue.shift();
if (endX === startX && endY === startY) {
console.log("happy");
return;
}
let i = 0;
while (i !== convenience.length) {
const [nx, ny] = [
Math.abs(startX - convenience[i][0]),
Math.abs(startY - convenience[i][1]),
];
if (nx + ny <= 1000) {
queue.push([convenience[i][0], convenience[i][1]]);
convenience = convenience.filter((_, id) => id !== i);
i = 0;
break;
} else {
i++;
}
}
}
console.log("sad");
});
};
executeBFS();
틀린 이유 찾는중.
7/27
왜 틀린지 잘 모르겠다. 어딘가 확실하게 틀렸으니 안돌아가는거 같은데,
bfs나 dfs말고 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풀어보는게 좋을 것 같다.
다음에 도전해봐야겠다.
8/1 틀린 부분 못찾겠어가지고 플로이드와샬알고리즘을 이용해서 풀었다. 어려웠다..
문제풀이
- 테스트케이스에서 각 정점들 추출.
- 정점의 크기만큼 edge를 표현해줄수 있는 2차원 배열 선언.
- 정점을 돌면서 연결이 가능하면 1로 표시(가중치는 중요하지 않음.)
- 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을 통해서 집에서 페스티발까지 도달할 수 있으면 infinity값이 아니여야함.
const fs = require("fs");
const input = fs.readFileSync("/dev/stdin").toString().trim().split("\n");
// const input = fs.readFileSync("./stdin").toString().trim().split("\n");
const testCaseCount = Number(input[0].trim());
const transformStrToArr = (str, splitOption = " ") => {
return str
.trim()
.split(splitOption)
.map(element => Number(element));
};
const getTestCases = (inputs, testCaseCount) => {
const cases = [];
let index = 0;
for (let count = 0; count < testCaseCount; count++) {
const convenienceCount = Number(inputs[index].trim());
let tempIndex = index;
index += convenienceCount + 2 + 1;
const testCase = {
vertex: [],
};
for (let location = tempIndex + 1; location < index; location++) {
testCase.vertex.push([...transformStrToArr(inputs[location])]);
}
cases.push(testCase);
}
return cases;
};
const testCases = getTestCases(input.slice(1, input.length), testCaseCount);
const make2Arr = testCase => {
const { vertex } = testCase;
const n = vertex.length;
const connected = Array.from(Array(n), () => Array(n).fill(Infinity));
for (let i = 0; i < n; i++) {
for (let j = 0; j < n; j++) {
if (i === j) continue;
const [x, y] = vertex[i];
const [x2, y2] = vertex[j];
const distance = Math.abs(x - x2) + Math.abs(y - y2);
if (distance <= 1000) {
connected[i][j] = 1;
}
}
}
return connected;
};
testCases.forEach(testCase => {
const connected = make2Arr(testCase);
const n = connected.length;
for (let k = 0; k < n; k++) {
for (let i = 0; i < n; i++) {
for (let j = 0; j < n; j++) {
if (connected[i][j] > connected[i][k] + connected[k][j]) {
connected[i][j] = connected[i][k] + connected[k][j];
}
}
}
}
connected[0][n - 1] !== Infinity ? console.log("happy") : console.log("sad");
});